학술 정보실
발굴조사보고서
大田 新洞·屯谷洞 遺蹟(대전 신동·둔곡동 유적)
개요
국제과학비지니스벨트 거점지구(신동 · 둔곡지구)내 대전 신동 · 둔독동 유적은 청동기~조선시대에 걸쳐 생활·생산·분묘유구가 확인된 종합유적이다. 본 유적은 금강 유역의 남쪽에 입지하는 유적으로 청기시대 이래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생활공간으로 이용되었고, 삼국시대 이래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매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을 뿐만 아니라 생산공간으로서도 이용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유적은 이 일대에서 생활한 사람들의 생활모습과 매장 형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라고 판단되고, 당시의 생활상의 복원과 매장 문화를 규명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가 확보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유구종별/시대/유형및기수/중요유물/특기사항
유구종별 | 시대 | 유형 및 기수 | 중요유물 |
생활유적 생산유적 분묘유적 | 청동기시대 | 수혈주거지 1기 | 무문토기저부편, 지석, 불명석기 |
삼국시대 | 토기가마171. 석곽묘371. 토광묘2기, 수혈10기 | 단경호, 평저호, 배, 대호편, 소형철모, 철부, 철겸, 관정 | |
고려시대 | 수혈주거지 1동, 도기가마 6기, 석곽묘 7기, 토광묘 2기, 수혈17기, 구 1기 | 토기완, 호구연부편, 병구연부편, 이면편병, 청자발, 수키와, 암키와, 청동숨가락, 동전, 교구편, 철도자편 | |
조선시대 | 적심건물지 5동, 적심 5기, 석축 3기, 고상식건물지 2동, 수혈주거지 67동, 기와가마 3기, 와적유구 1기, 목탄요 1기, 토광묘 3기, 회곽묘 38기, 소성유구 3기, 수혈 364기, 구 48기, 야외노지 32기 | 동이, 병, 흑유단경호, 청자소호, 분청자발, 분청자접시, 분청자종지, 백자발, 백자접시, 백자종지, 백자잔, 백자철화소호, 백자병기, 벼루, 수키와, 엄키와, 구슬, 금동화형잔, 청동완, 청 통합, 청동이, 청동지환, 청동숨가락, 청동젓가락, 청동족집게및뀌이개, 주조철부, 철제가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