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연구활동

학술연구

  • 학술 연구활동
  • 학술연구

학술연구 논문

연번 이름 연도 논문명 학술지명 발간기관
77 이기건 2023 삼국시대 경남서부지역 및 전남동부지역의 수혈주거지 변천양상 영남고고학보 95 영남고고학회
76 김준식 2023 철의 왕국, 바닷길을 뚫다 Museum Opus vol.4-도시가 세계유산 고령 고령군·도서출판 컴엔시
75 김준식 2023 왜계 문물 수용의 전환기로 본 가야와 왜의 교류양상 영남학 86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74 김준식 2023 백제계 문물의 수용과 번안으로 본 대가야의 지배방식 백제학보 45 백제학회
73 남익희 2023 구미 인동지역 고분의 편년과 토기양식의 검토 야외고고학 47 한국문화유산협회
72 남익희 2023 삼국∼통일신라시대 상주의 고분문화 선사·고대의 상주 상주박물관
71 남익희 2023 일제강점기 대구 달성고분군 자료 공개와 활용 고고학지 28 국립중앙박물관
70 김준식 2022 백제⋅신라의 진출과 가야의 대응 가야 역사⋅문화 연구총서Ⅱ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69 김준식 2022 고고자료로 본 백제의 걸탁성 영위의 성격 영남학 82 (재)영남문화재연구원
68 남익희 2022 대구 구암동고분군의 편년과 토기 양식의 분포 야외고고학 43 한국문화유산협회
67 이동욱 2022 울산 척과천유역에서 확인된 대규모 청동기시대 마을 2021 한국고고학저널 국립문화재연구원
66 박달석 2022 상주 취락의 경관과 도시구조 상주박물관 문화총서 9집 상주박물관
65 박달석 2022 상주 사벌지역의 공간구조 변화 한국불교사연구 제22호 한국불교사학회
64 김준식 2021 일제강점기 강원지역 고적조사 현황과 전망 강원문화연구 44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63 김준식 2021 장고봉유형 사례로 본 창출계 왜계석실 유형 설정의 재검토 한국고고학보 121 한국고고학회
62 김준식 2021 진주 원당고분으로 본 수정봉-고아동식 횡혈식석실의 출현 배경 경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 40주년 기념논총 경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
61 남익희 2021 주성분분석을 통해 본 의성양식 고배의 생산과 유통 嶺南文化財硏究 31 (재)영남문화재연구원
60 남익희 2021 신라 적석목곽묘 출토 토기의 편년과 분포 2021 신라학강좌 총서 국립경주박물관
59 남익희 2021 삼국시대 성주지역 토기의 특징과 분포 성주 성산동 고분군 전시관 개관기념(성산동 고분군과의 조우-그 첫 번째) 성주 성산동 고분군 전시관
58 남익희 2021 고고학 편년으로 본 신라의 연대 연대측정학을 통해 본 고대 경주의 시간 국리경주문화재연구소/영남고고학회
57 남익희 2021 삼국시대 김천지역 고분 편년과 정치체의 동향 경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 40주년 기념논총 경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
56 박정현 2020 제작 기술로 본 송림사 사리장엄구 제작 시기 연구 야외고고학 38(등재) 한국문화유산협회
55 김준식 2020 일본 규슈지역과 가야의 교류 양상, 가야와 주변, 그리고 바깥 한국고대사학회 가야 연구 총서 Ⅲ 주류성
54 김준식 2020 횡혈식석실로 본 소가야 지배층 묘제의 성립과 의미 한국고고학보 116(등재) 한국고고학회
53 김준식 2020 매장문화재 사회교육의 현상과 활성화 방안 고문화 95(등재) 한국대학박물관협회
52 남익희 2020 주성분분석을 이용한 지역양식 토기 검토 영남고고학 88(등재) 영남고고학회
51 남익희 2020 주성분분석을 이용한 신라 중앙과 지방 토기 비교 한국상고사학보 109(등재) 한국상고사학회
50 남익희 2020 대구 달성고분군의 편년과 성격 야외고고학 37(등재) 한국문화유산협회
49 김은경 2020 新羅 積石木槨墓 喪葬儀禮 硏究 박사학위 논문 영남대학교
48 양성민 2020 영남지역 삼국시대 胄의 연구 석사학위 논문 경북대학교
47 김민식 2020 신라 보상화문 수막새의 변천 석사학위 논문 영남대학교
46 남익희 2020 신라 지방 고분의 조사와 성과 계간 한국의 고고학 46 주류성출판사
45 유병록 2019 영남지역 송국리문화 연구 박사학위 논문 부산대학교
44 김준식 2019 加耶 橫穴式石室 硏究 박사학위 논문 경북대학교
43 김은경 2019 연령별 문화재 교육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
-돌돌탐험대와 고고학체험교실 사례를 중심으로-
야외고고학 35(등재) 한국문화유산협회
42 김준식 2019 倭系石室로 본 加耶와 倭의 交流 대구사학 136 대구사학회
41 김준식 2019 가야고분 출토 청동완의 분포와 의미 한국고대사탐구33 한국고대사탐구학회
40 김준식 2019 가야권에서 발견된 왜계 고분 가야본성 -칼과 현- 국립중앙박물관
39 이진혁 2019 2-4세기 포항 옥성리 일대 고분군의 양상과 그 집단의 동향 한국고고학보 111(등재) 한국고고학회
38 김준식·이진혁 2019 영주 순흥 내죽리고분군6-87호분의 석실구조와 성격 야외고고학 34(등재) 한국문화유산협회
37 박정현 2019 제작 기술로 본 익산 왕궁리 사리장엄구 제작 시기 연구 야외고고학 36(등재) 한국문화유산협회
36 남익희 2018 新羅土器 硏究 박사학위 논문 경북대학교
35 길가은 2018 삼국시대 경산지역 적석목곽묘 연구 석사학위 논문 영남대학교
34 박달석 2018 조선시대 상주목 관아시설의 공간배치추론 상주문화연구 27 경북대학교
상주문화연구소
33 이동욱 2018 5~6세기 경주지역 고분의 위계와 변천양상 야외고고학 32(등재) 한국매장문화재협회
32 김준식 2018 고령 고아동벽화고분의 성격과 대가야 지배층 한국상고사학보 101(등재) 한국상고사학보
31 김준식 2018 長鼓峰類型 倭系石室의 性格과 類型設定 檢討 호남문화재연구 23 호남문화재연구원
30 신상백 2017 加耶 古墳 殉葬의 比較 硏究 석사학위 논문 경북대학교
29 김은경 2017 낙동강 고대문명사 대구경북학회 경상북도
28 김준식 2017 가야 세장방형 횡혈식석실의 출현배경과 발전양상 한국고고학보 102(등재) 한국고고학회
27 이진혁 2016 5-6세기 소백산맥 동북부 일대 신라고분 연구-
횡구·횡혈식묘제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26 남익희 2016 상주 갑장산 주변의 고고학적 환경 상주 갑장산 상주박물관
25 김준식 2016 가야의 묘제 가야고고학개론 (기타) (재)중앙문화재연구원
24 박달석 2015 백화산 주변의 고고학적 환경 문화총서 5(기타) 상주박물관
23 남익희 2015 4〜6세기 대구지역 고분 편년 우행 이상길 교수
추모논문집
이상길 교수 추모
논문집 간행위원회
22 남익희 2015 일본 오사카부 도야마 1호분 출토 스에키의 계보와 제작배경 한국고고학보 96 (등재) 한국고고학회
21 김은경 2015 신라고분 출토 철부의 부장과 의의 영남고고학 71(등재) 영남고고학회
20 김준식 2015 경남 남해안일대 왜계석실 피장자의 성격과 역할 야외고고학 23(등재) 한국매장문화재협회
19 남익희 2014 고 신라토기 신라고고학개론 중앙문화재연구원
18 김준식,이진혁 2014 순흥지역 횡구식석실과 그 축조집단의 성격 야외고고학 19(등재) 한국문화유산협회
17 김준식 2014 진주 원당고분군의 특징과 축조 배경 동아문화16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16 남익희 2013 순흥지역 삼국시대 횡구식석실묘의 전개와 정치체의 동향 영남고고학 65 (등재) 영남고고학회
15 김은경 2013 월성 출토 신라 고식 수막새 제작기법에 대한 고찰 중앙고고연구 13(등재) 중앙문화재연구원
14 김은경 2013 신라고분 출토 안교 장식구에 대한 일고찰 인류학, 고고학 논총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개설40주년 기념 논총
13 박달석 2012 統一新羅時代 沙伐州 伏龍洞聚落과 地方都市構造 硏究 석사학위 논문 부산대학교 
12 서경민 2012 5~6세기대 안동지역 세력의 구성과 그 동향 한국 고고학보83(등재) 한국고고학회
11 김은경 2012 三國時代 古墳出土 朱와 그 意味 嶺南考古學 61(등재) 영남고고학회
10 박달석 2011 伏龍洞遺蹟으로 본 統一新羅時代 沙伐州의 都市構造 嶺南文化財硏究 24 영남문화재연구원
9 남익희 2011 5〜6세기 낙동강 중상류역 성주양식 토기의 분포와 의의 경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
30주년 기념논총
경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
8 남익희 2011 5〜6세기 성주지역 분묘의 특징과 성주양식 토기의 분포 한국상고사학보 74 (등재) 한국상고사학회
7 김준식 2011 晋州 院堂1號墳 한국상고사학보 74(등재) 한국상고사학보
6 송상우 2010 경주지역 고분 출토 단각고배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경주대학교
5 최유라 2010 안동지역의 통일신라시대 고분 연구 석사학위 논문 안동대학교
4 송상우 2010 경주지역 고분 출토 단각고배에 관한 연구 대구사학 101(등재) 대구사학회
3 서경민 2010 의성양식토기의 분포로 본 의성지역 권역 한국고대사 속의 召文國 경북의성군·
경북대학교영남문화연구원
2 김은경 2010 新羅古墳 出土 雲母의 性格 한국 고고학보77(등재) 한국고고학회
1 남익희 2009 5〜6세기 성주양식 토기 및 정치체 연구 영남고고학 49 (등재) 영남고고학회

학술발표

연번 이름 연도 논문명 학술지명 발간기관
93 김준식 2023 상장의례의 관점으로 본 대가야 궁성지의 새로운 인식 가야사학회 2023년 정기학술대회 가야사학회
92 김준식 2023 상주 낙동강유역 고고유산의 가치와 활용 제11회 상주박물관 학술대회 상주박물관
91 김준식 2023 管山城 戰鬪와 大加耶에 대한 토론 제4회 관산성 국제학술대회 옥천군
90 김준식 2023 가야 속의 왜계 문물의 현상과 과제 2023년 국립김해박물관 가야학술제전 국립김해박물관
89 김준식 2023 2022년도 가야 고고학 연구동향과 향후과제 가야사학회 2022년도 조사·연구 성과 발표 가야사학회·국립김해박물관
88 김은경 2023 의례·종교공간과 권력에 대한 토론 제27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한국고고학회
87 김은경 2023 천마총 장송의례 과정과 표상 전략 천마총 발굴 50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86 김은경 2023 수중고고학의 활용 방안과 지속가능성 제13회 전국해양문화학자대회 완도대회 전국해양문화학자대회 조직위원회
85 김은경 2023 달서구 선사문화자원의 사회적 가치 제고와 지속가능성을 위한 전략 선사시대로사업의 발전방향 모색을 위한 정책 토론회 달서구의회
84 김은경 2023 The Reorganization Process and Diversification of the Burial Ritual of Silla’s Maripgan Period Tri-national Conference of Archaeological Cooperation and Academic Exchange: Georgian, Azerbaijan, Korea 한국유라시아문명연구회
83 김은경 2023 장송의례적 관점에서 본 신라·가야고분의 축조와 매장 제32회 영남고고학회 정기학술발표 영남고고학회
82 김은경 2023 풍남토성의 역사문화적 활용과 사회적 가치 제고를 위한 전략 백제왕성 풍납토성 학술대회 국립서울문화재연구소
81 남익희 2023 선사∼삼국시대 성주지역의 고고학적 배경 성주 성산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성주군
80 남익희 2023 성주 성산동 22호분 출토 토기에 대하여 성산동 고분군과의 조우 성주 성산동 고분군 전시관
79 남익희 2023 충북지방 고분출토 신라토기의 편년과 성격 신라의 중원진출과 문화양상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78 이동욱 2023 전주천유역 원삼국~삼국시대 주거와 취락 전주 탄소소재 국가산업단지 문화유산 가치와 활용 모색 LH토지주택공사 외 6개 기관
77 박달석 2023 상주 견훤산성의 지정명칭과 전략적 가치 상주 견훤산성 국가사적 지정을 위한 학술대회 상주시․세종문화재연구원
76 박달석 2023 역사도시 상주의 조사연구현황과 과제 강원의 역사 도시 중부고고학회
75 박달석 2023 영천읍성의 공간구조 검토 영천읍성의 역사적 의미와 문화적 가치 영천시․성림문화재연구원
74 정선운 2022 加耶 港市의 成立과 展開  2022년 가야사학회 정기학술대회 가야사학회
73 이기건 2022 3~6세기대 경남서부지역 및 전남동부지역 수혈주거지 변천양상 유라시아문명사연구회 제21회 정기발표회 유라시아문명사연구회
72 김준식 2022 乞?城 추정지 주변의 고고학적 현상과 의미 유라시아문명사연구회 제22회 정기발표회 유라시아문명사연구회
71 김준식 2022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추진과 향후 활용방안 강원대학교 사학과 특강 강원대학교
70 김준식 2022 加耶の倭系石室の現象と新見解 國際企劃展示セミナ 日本 國立歷史民俗博物館
69 김준식 2022 고분출토 장신구로 본 가야 양식의 출현과 전파 창원대학교 사학과 한국고고학“加耶”세미나 창원대학교
68 김준식 2022 왜계 석실 연구의 새로운 접근 부산고고학회 제4회 정기학술대회 부산고고학회
67 김준식 2022 고고학 박사가 들려주는 역사이야기 내 아이를 위한 부모 공부 교원빨간펜
66 김준식 2022 교류 흔적으로 본 가야의 이웃사촌들 창녕박물관 역사인문학강좌 창녕박물관
65 김준식 2022 불의 나라 아제르바이잔 발굴이야기 국립대학 육성사업 봄내인문학 시민강좌 강원대학교
64 김준식 2022 대가야의 위기와 단계적 대응 방안 유라시아문명사연구회 제12회 정기발표회 유라시아문명사연구회
63 도영아 2022 국가귀속 절차의 이해 경북대학교박물관 직무교육특강 경북대학교박물관
62 남익희 2022 삼국시대의 토기문화 달서구 주민역사문화리더 교육 대구광역시 달서구
61 남익희 2022 경주지역 석실묘 출토 토기의 분류와 지방 토기와의 비교 석실묘로 본 신라의 발전과 확장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60 남익희 2022 일제강점기 대구 달성고분군 자료 공개와 활용 국립박물관 소장 일제강점기 자료의 공개와 활용 국립중앙박물관
59 남익희 2022 삼국시대 토기 양식론과 고고학에서의 통계학적 방법의 사용 문화인류학과 BK21 교육연구팀 학술행사 영남대학교
58 남익희 2022 삼국과 가야토기 2022 상반기 군민참여 역사강좌 학술대회 성주성산동고분군전시관
57 남익희 2022 신라 고분의 변천과 연대 창립 1주년 및 MOU체결 기념학술대회 한국유라시아문명연구회
56 이동욱 2022 울산 다운2지구 유적 제46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한국고고학회
55 박달석 2022 상주 오봉산 암혈유적의 특징과 그 의미 상주지역 암각화의 문화유산적 가치와 의미 학회 상주시?세종문화재연구원
54 김준식 2021 일본 도쿄대학 세키노 타다시의 강원 문화재 조사와 식민성 토론 제4회 강원학대회 강원학연구센터
53 김준식 2021 고고자료로 본 6세기 가야의 위기와 대응 제64회 전국역사학대회 고고학부 한국고고학회
52 김준식 2021 석실구조로 본 해남 방산리 장고봉고분 토론 해남 방산리 장고봉고분 학술대회 전라남도 해남군/(재)마한문화재연구원
51 김준식 2021 영주 순흥지역 고분의 성격과 특징 영주 순흥벽화고분의 역사적 가치와 보존 및 활용방안 영주시/(재)서라벌문화재연구원
50 김준식 2021 일제강점기 강원지역 고적조사 자료 집성의 성과와 의의 남북강원도 인문학 분야 기초조사연구 성과 보고회 강원대학교/강원문화연구소
49 남익희 2021 성주 고분군 출토 토기의 분포와 특징 성주 성산동 고분군 조사 100년과 새로운 시작  성주군/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화 4단계 BK21사업 교육연구팀
48 남익희 2021 포항지역 적석목곽묘의 편년과 성격 적석목곽묘로 본 신라의 기원과 성장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47 남익희 2021 대구 구암동 고분군의 편년과 토기의 특징 대구 구암동 고분군 사적지정기념 학술심포지움 대구광역시 북구/(재)대동문화재연구원
46 남익희 2021 우레탄 갱도 속의 적석목곽묘 임당유적 고고유산 아카이빙 구축을 위한 학술포럼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화 4단계 BK21사업 교육연구팀
45 이동욱 2021 울산다운2 공공주택지구 조성사업부지내 유적 조사성과 2021 청동기시대 중요유적 조사성과 발표회  한국청동기학회
44 김준식 2020 대가야 왕도와 방어체계에 대한 토론 영남고고학회 제29회 정기학술 발표회 영남고고학회
43 김준식 2020 고고학에서 발굴은 어떻게 하는가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지역인문학센터 경북대학교
42 김준식 2020 한일 양국의 쟁점, 한반도의 전방후원분 주민역사문화리더 양성교육과정 대구시 달서구청
41 김준식 2020 장고봉유형 왜계석실의 재검토, 장고분의 피장자와 축조배경, 국제학술회의 마한연구원
40 김준식 2020 문화재 발굴조사와 조사연구기관 강원대학교 LINC+사업단 취업특강 강원대학교
39 남익희 2020 대구 달성고분군 출토 토기의 검토 대구 달성유적 1,500년 전의 기억 국립대구박물관 영남고고학회
38 남익희 2020 경주식 토기의 편년과 분포 가야토기와 신라토기 국립김해박물관, 부산대학교박물관
37 박달석 2020 고대도시 상주의 방어체계와 도시구조 영남고고학회 제29회 정기학술 발표회 영남고고학회
36 박달석 2019 상주 견훤산성의 축조시기와 성격 한국성곽학회 학술포럼 한국성곽학회
35 남익희 2019 대구·경산지역의 고분문화 주민역사문화 리더 양성교육과정 대구시 달서구청
34 김은경 2019 영남지역 옹관묘 장송의례 연구 한국고고학전국대회
자유패널 제1분과
한국고고학회
33 김은경 2019 신라고분 이야기 주민역사문화리더 양성교육과정 대구시 달서구청
32 김은경 2019 연령별 문화재 교육의 활용방안 한국대중고고학회 추계발표회 한국대중고고학회
31 김준식 2019 소가야식 횡혈식석실의 출현과 의미 고분문화연구회 정기발표회 고분문화연구회
30 길가은 2019 경산 부적리 BⅥ호분과 경산지역 적석목곽묘 고분문화연구회 정기발표회 고분문화연구회
29 남익희 2018 신라토기의 형식에 관한 제안 영남고고학회 제 27회
정기학술발표회
-형식학의 제 문제
영남고고학회
28 도영아 2018 선사유적 발굴조사와 보고서의 간행 주민역사리더 양성교육과정 운영 대구시 달서구청
27 서경민 2018 금성산 고분군 출토 초기의 특징과 부장양상 의성 금성산고분군의
역사적 가치와 특수성검토
의성군·성림문화재연구원
26 김은경 2018 금령총 발굴의 재검토 일제강점기에 발굴된 대릉원 일원의
신라고분, 학술대회발표
경주시·신라문화유산연구원
25 김은경 2018 삼국시대 (인신)희생의례에 대한 검토 국제학술대회 발표 동아인문학회
24 김은경 2018 연령별 문화재 교육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 문화유산교육 논문 공모전
학술발표회 발표
문화재청
23 김준식 2018 왜계석실로 본 백제-가야-왜의 교류양상 가야고분군 세계유산(등재)를 위한
전문가 국제포럼
가야고분군
세계유산등재추진단
22 김준식 2018 가야지역 횡혈식석실의 기원지와 계보 동아시아 고분문화와 백제 왕릉의
위상 국제회의
서울특별시·백제학회
21 김준식 2017 매장문화재 교육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 2017문화유산교육 학술논문 공모전 한국문화재재단
20 박달석 2016 고고학적 성과로 본 상주읍성 상주읍성의 역사적 가치 상주박물관
19 남익희 2016 대구 달서지역 삼국시대 유적과 활용방안 대구 달서지역의 문화재와
그 활용방안
대구시 달서구청/
세종문화재연구원
18 김창억 2015 신라우물의 종류와 성격 제7차 세계물포럼
-신라우물과 삶-
세계물포럼/
국제수문환경학회
17 김창억 2015 신라인의 우물활용과 제의 국립대구박물관‧
대구경북문화재조사연구기관
특별전
국립대구박물관
16 김은경 2015 대구 달서지역 선사유적의 이해 달서지역 선사유적의
역사적 의미와 문화적 가치
대구시 달서구청/
세종문화재연구원
15 김창억 2014 신라우물의 축조방법과 종류 제6차 세계물포럼
-신라우물과 문화-
세계물포럼/
국제수문환경학회
14 김창억 2014 경주지역 역사 우물의 제작재료와 축조과정 경주지역 역사 우물의
정비‧활용에 대한 연구
신라문화유산연구원
13 김창억 2014 삼국시대 의성의 고분문화 조문국박물관대학 의성조문국박물관
12 송상우 2014 김천 운수리 여말선초 와요지 2014년 연구조사발표회 영남지역문화재
조사연구기관협의회
11 김은경 2014 新羅古墳 出土鐵斧의 副章과 그 意味 신라사학회 정기발표회 신라사학회
10 김준식 2014 영주 순흥지역 고분군의 역사적 의미와 활용방안 문화유산 창의적 활용 논문공모전 한국문화재재단
9 박달석 2013 고고학적 성과로 본 통일신라~조선시대 상주의 중심지 제3회 상주박물관 학술대회
조선시대의 상주
상주박물관
8 박달석 2013 상주 백화산 주변의 고고학적 연구 성과 백화산권의 역사성 재조명을 위한
학술대회-백화산과 상주
백화산을 사랑하는 모임
7 김창억 2012 大邱‧慶北地域 三國時代 集落の特徵と性格 日韓集落の硏究 日韓集落硏究會
6 남익희 2012 성주지역 삼국시대 고분군의 현황과
보존 관리 실태 및 연구 현황
경북지역 가야유적의 세계유산
가치 검토
경상북도/
경북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5 남익희 2012 최근 영주 순흥지역 고분의 발굴조사 성과과 의의 영주 순흥지역 고분의 역사적
의미와 문화적 가치
영주시/ 세종문화재연구원
4 서경민 2012 5~6세기 고분문화와 古代 尙州 상주박물관 개관5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상주시‧ (재)영남문화재연구원
3 서경민 2012 의성 지역 고분조사 50년과 조문국의 지배 세력 한국고대사탐구학회 의성군조문국박물관
2 남익희 2009 삼국시대 성주지역 묘제의 변천과 특징 고분연구 16 고분연구회
1 김창억 2009 영남 내륙지역 삼국시대 주거와 취락 제18회 영남고고학회 학술발표회 영남고고학회

학술연구용역

18 조사사업명 LH사업지구 문화재 조사연구성과집 제작 및 발간 용역
연도 2024
개요 LH사업지구 문화재 조사 성과 심화연구 및 활용 전략으로서, 문화재 업무 주관부서 전문성에 기반한 후속 성과물 직접 제작·활용하기 위해 2021~2022년 완료조치 통보된 9개 사업지구를 선정하여 심화연구를 진행함. 해당 용역은 유적 조사기관, 조사자의 심화 연구 지원 및 성과 공유를 통한 LH형 문화재조사관리 브랜드 창출 및 대외적 위상 제고를 목적으로 함.
17 조사사업명 상주 오봉산 암혈유적 3D스캔 및 분석작업 용역
연도 2022
개요 오봉산 암혈유적에 대한 정밀지표조사(분포측량조사)를 통해 확인된 총 10기의 암혈 중 가장 큰 바위 2기에 대한 3D 스캔 및 분석작업 등을 실시하여 유적의 실체를 규명한다. 이러한 조사를 바탕으로 향후 문화유적 보존 및 활용에 필요한 학술적 객관성을 확보하여 관내 시민들의 역사의식 고취 및 자긍심을 제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6 조사사업명 설화리고분군 개발 및 활용 기본계획 수립 용역
연도 2021
개요 설화리고분군의 분포 범위 및 현상을 파악하 여 그 실태와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진단하고, 실질적인 개선 방법을 모색하면서 고분군의 보존⋅ 정비⋅활용을 위한 기본계획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14 조사사업명 대구 달성고분군 보호 학술조사 용역
연도 2019
개요 대구의 대표 유적인 달성고분군에 대한 정밀현황조사를 통해 고분군의 유존가능범위, 전체분포도, 현상조사(훼손상태 등) 등을 기록으로 남겨 학술연구, 보호정비 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있다. 또한 달성고분군에 인접한 사적 제62호 「대구 달 성」과 연계하여 체계적이고 지속가능한 보호정비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개발에 따른 문화재 의 보존보호 및 그 가치를 제고하고, 나아가 지역의 우수한 문화를 널리 알리고 역사의 산 교육장으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5 조사사업명 수성구 문화유산 총람 및 문화유적 분포지도 제작용역
연도 2019
개요 수성구에 산재한 선사시대에서 근·현대까지의 문화유산을 토대로 고고·역사문화유적 기초자료를 수집하여 지역 문화유산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보존관리 계획수립을 목적으로 함.
14 조사사업명 대구 달성고분군 보호 학술조사 용역
연도 2019
개요 대구의 대표 유적인 달성고분군에 대한 정밀현황조사를 통해 고분군의 유존가능범위, 전체분포도, 현상조사(훼손상태 등) 등을 기록으로 남겨 학술연구, 보호정비 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있다. 또한 달성고분군에 인접한 사적 제62호 「대구 달 성」과 연계하여 체계적이고 지속가능한 보호정비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개발에 따른 문화재 의 보존보호 및 그 가치를 제고하고, 나아가 지역의 우수한 문화를 널리 알리고 역사의 산 교육장으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5 조사사업명 수성구 문화유산 총람 및 문화유적 분포지도 제작용역
연도 2019
개요 수성구에 산재한 선사시대에서 근·현대까지의 문화유산을 토대로 고고·역사문화유적 기초자료를 수집하여 지역 문화유산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보존관리 계획수립을 목적으로 함.
14 조사사업명 대구 달성고분군 보호 학술조사 용역
연도 2019
개요 대구의 대표 유적인 달성고분군에 대한 정밀현황조사를 통해 고분군의 유존가능범위, 전체분포도, 현상조사(훼손상태 등) 등을 기록으로 남겨 학술연구, 보호정비 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있다. 또한 달성고분군에 인접한 사적 제62호 「대구 달 성」과 연계하여 체계적이고 지속가능한 보호정비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개발에 따른 문화재 의 보존보호 및 그 가치를 제고하고, 나아가 지역의 우수한 문화를 널리 알리고 역사의 산 교육장으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3 조사사업명 대구 불로동고분군 정밀현황조사 학술용역
연도 2018
개요 대구광역시 동구에서 추진하는 사적 제262호 「대구 불로동고분군」 에 대한 정밀현황조사이다. 이번 조사의 목적은 대구 불로동고분군의 분포범위 등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학술조사 용역으로 분포측량조사를 통해 개별 고분에 대한 정확한 위치와 현상 확인 및 현황 실측 등을 실시하여 유적의 실체를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종합정비계획 수립에 활용하며, 발굴조사 및 관광자원의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함이다.
12 조사사업명 청량산 산성마을 일대 정밀지표조사 및 학술용역
연도 2018
개요 고려 공민왕대에 개축했다고 전해지는 봉화 청량산성(일명 공민왕산성)의 산성마을 일대에 대한 정밀지표조사를 실시하여 성내 주요시설 및 문화재 유존지역을 파악하고, 훼손 우려가 있는 지점을 기록하여 향후 주요 문화유적의 체계적 정비, 복원 및 활용에 대한 기본방향을 수립
11 조사사업명 대구 부인사지 종합정비 계획수립 학술용역
연도 2018
개요 대구광역시 동구청·부인사에서 계획하고 있는 ‘대구 부인사지의 체계적인 보존·관리, 합리적인 활용방안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정비계획을 수립하여 향후 사적 지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10 조사사업명 선사시대 조성 방안 학술용역
연도 2016
개요 달서구 월배지역에 위치한 5개 공원 등 선사유적을 활용한 역사공원 인프라 구축 방안을 제시하여, 타지역과 차별화할 수 있는 독자적인 역사 및 문화 브랜드를 발굴하고 제시하고, 선사시대 문화재를 활용한 관광과 역사가 함께하는 역사문화 클러스터 조성 방안을 제시
9 조사사업명 마을전설(이야기) 스토리텔링 구체화 학술용역
연도 2016
개요 대구시 달서구에서 기존에 수집한 기초자료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스토리텔링 등 다양한 사업에 적용할 수 있는 자료로 재구성
8 조사사업명 한샘공원 전시문화재 주변정비용역
연도 2015
개요 대구광역시 달서구에서 관리하는 한샘 공원에 전시되어 있는 문화재 주변에 대한 정비를 실시하여, 효율적인 문화재관리를 도모함과 동시에 방문객들의 관람편의를 증진하여 달서구에 대한 홍보 및 이미지를 높이고자 함
7 조사사업명 대구 월성태왕아파트-조암로간 도로건설부지내 유적 문화재 이전‧복원 학술용역
연도 2015
개요 대구 월성아파트-조암로간 도로건설부지내 유적 문화재 발굴조사결과 상기 유적에서 발굴조사된 지석묘 상석 1기와 석곽묘 1기를 대구시 달서구 대천동 청동기유적(한샘공원)으로 이전·복원 진행
6 조사사업명 달서구 지명(동명)유래 역사학적 고증을 위한 학술용역
연도 2015
개요 달서구 역사의 기본이 되는 지명에 대한 학술적 고증을 통해 기존에 알려진 지명유래의 오류부분을 재정비하여 달서구 지역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현재 달서구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달서구사의 지명유래 부분을 검토하여 수정‧보완하고, 사료를 바탕으로 지명유래의 역사적 근거를 제시
5 조사사업명 성주 수죽·용각리고분군 정밀지표조사 용역
연도 2015
개요 성산가야를 대표하는 3대 고분군 중에 하나인 성주 수죽·용각리 일대에 분포하는 고분군에 대한 정밀지표조사용역을 계획하였음 해당 지역의 고분 분포와 개별고분의 현상을 확인하여 학술연구자료와 원형복원 및 정비자료로 구축하고 이를 통해 성산가야 문화의 독창성과 우수성을 알려 역사의 산 교육장으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4 조사사업명 화원 성산리고분군 종합정비계획 수립 학술용역
연도 2014
개요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계획하고 있는 성산리고분군 종합정비계획 수립을 위한 현황조사 및 종합정비계획수립에 대한 것으로 대구지역을 대표하는 삼국시대 대형 고총고분군인 화원 성산리고분군의 상세범위와 고분분포 등의 기본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학술조사용역이다.
3 조사사업명 경주 월성 발굴조사 마스터플랜
연도 2014
개요 경주 월성유적의 기초학술조사 용역으로 월성의 조사·연구현황, 정밀측량, GPR, 고식생 환경, 발굴조사 타당성 평가, 정비방안, 해외 유사사례조사 및 분석과 관련된 내용을 정리
2 조사사업명 대구옥포지구내 시지정문화재 주변 정비계획수립 용역
연도 2012
개요 대구옥포 보금자리주택지구 조성사업과 관련하여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면 강림리 731-1번지 일원에 위치한 시지정문화재(이철견 신도비, 대구시유형문화재 제38호)의 주변정비계획을 위한 문화재 정비계획 수립 작업 실시
1 조사사업명 순흥 태장리 고분군내 1호분 발굴조사 및 이전정비 용역
연도 2011
개요 영주 순흥 태장리 1호분은 순흥지역 최고 수장의 무덤으로 추정되어피장자의 사회적 위계와 성격을 물론 당시 고구려와 맞닿은 신라의 변경지역으로 순흥의 지리적·전략적 중요성과 위치 등을 다시 한 번 재조명해 줄 수 있는 중요한 학술자료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를 지속적인 학술자료로 활용하고자 읍내리 벽화고분 모형관 옆으로 이전복원을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