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연구활동
학술연구
학술연구 논문
연번 | 이름 | 연도 | 논문명 | 학술지명 | 발간기관 |
---|---|---|---|---|---|
49 | 김은경 | 2020 | 新羅 積石木槨墓 喪葬儀禮 硏究 | 박사학위 논문 | 영남대학교 |
48 | 양성민 | 2020 | 영남지역 삼국시대 胄의 연구 | 석사학위 논문 | 경북대학교 |
47 | 김민식 | 2020 | 신라 보상화문 수막새의 변천 | 석사학위 논문 | 영남대학교 |
46 | 남익희 | 2020 | 신라 지방 고분의 조사와 성과 | 계간 한국의 고고학 46 | 주류성출판사 |
45 | 유병록 | 2019 | 영남지역 송국리문화 연구 | 박사학위 논문 | 부산대학교 |
44 | 김준식 | 2019 | 加耶 橫穴式石室 硏究 | 박사학위 논문 | 경북대학교 |
43 | 김은경 | 2019 | 연령별 문화재 교육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 -돌돌탐험대와 고고학체험교실 사례를 중심으로- |
야외고고학 35(등재) | 한국문화유산협회 |
42 | 김준식 | 2019 | 倭系石室로 본 加耶와 倭의 交流 | 대구사학 136 | 대구사학회 |
41 | 김준식 | 2019 | 가야고분 출토 청동완의 분포와 의미 | 한국고대사탐구33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40 | 김준식 | 2019 | 가야권에서 발견된 왜계 고분 | 가야본성 -칼과 현- | 국립중앙박물관 |
39 | 이진혁 | 2019 | 2-4세기 포항 옥성리 일대 고분군의 양상과 그 집단의 동향 | 한국고고학보 111(등재) | 한국고고학회 |
38 | 김준식·이진혁 | 2019 | 영주 순흥 내죽리고분군6-87호분의 석실구조와 성격 | 야외고고학 34(등재) | 한국문화유산협회 |
37 | 박정현 | 2019 | 제작 기술로 본 익산 왕궁리 사리장엄구 제작 시기 연구 | 야외고고학 36(등재) | 한국문화유산협회 |
36 | 남익희 | 2018 | 新羅土器 硏究 | 박사학위 논문 | 경북대학교 |
35 | 길가은 | 2018 | 삼국시대 경산지역 적석목곽묘 연구 | 석사학위 논문 | 영남대학교 |
34 | 박달석 | 2018 | 조선시대 상주목 관아시설의 공간배치추론 | 상주문화연구 27 | 경북대학교 상주문화연구소 |
33 | 이동욱 | 2018 | 5~6세기 경주지역 고분의 위계와 변천양상 | 야외고고학 32(등재) | 한국매장문화재협회 |
32 | 김준식 | 2018 | 고령 고아동벽화고분의 성격과 대가야 지배층 | 한국상고사학보 101(등재) | 한국상고사학보 |
31 | 김준식 | 2018 | 長鼓峰類型 倭系石室의 性格과 類型設定 檢討 | 호남문화재연구 23 | 호남문화재연구원 |
30 | 신상백 | 2017 | 加耶 古墳 殉葬의 比較 硏究 | 석사학위 논문 | 경북대학교 |
29 | 김은경 | 2017 | 낙동강 고대문명사 | 대구경북학회 | 경상북도 |
28 | 김준식 | 2017 | 가야 세장방형 횡혈식석실의 출현배경과 발전양상 | 한국고고학보 102(등재) | 한국고고학회 |
27 | 이진혁 | 2016 | 5-6세기 소백산맥 동북부 일대 신라고분 연구- 횡구·횡혈식묘제를 중심으로 |
석사학위논문 | 영남대학교 |
26 | 남익희 | 2016 | 상주 갑장산 주변의 고고학적 환경 | 상주 갑장산 | 상주박물관 |
25 | 김준식 | 2016 | 가야의 묘제 | 가야고고학개론 (기타) | (재)중앙문화재연구원 |
24 | 박달석 | 2015 | 백화산 주변의 고고학적 환경 | 문화총서 5(기타) | 상주박물관 |
23 | 남익희 | 2015 | 4〜6세기 대구지역 고분 편년 | 우행 이상길 교수 추모논문집 |
이상길 교수 추모 논문집 간행위원회 |
22 | 남익희 | 2015 | 일본 오사카부 도야마 1호분 출토 스에키의 계보와 제작배경 | 한국고고학보 96 (등재) | 한국고고학회 |
21 | 김은경 | 2015 | 신라고분 출토 철부의 부장과 의의 | 영남고고학 71(등재) | 영남고고학회 |
20 | 김준식 | 2015 | 경남 남해안일대 왜계석실 피장자의 성격과 역할 | 야외고고학 23(등재) | 한국매장문화재협회 |
19 | 남익희 | 2014 | 고 신라토기 | 신라고고학개론 | 중앙문화재연구원 |
18 | 김준식,이진혁 | 2014 | 순흥지역 횡구식석실과 그 축조집단의 성격 | 야외고고학 19(등재) | 한국문화유산협회 |
17 | 김준식 | 2014 | 진주 원당고분군의 특징과 축조 배경 | 동아문화16 |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
16 | 남익희 | 2013 | 순흥지역 삼국시대 횡구식석실묘의 전개와 정치체의 동향 | 영남고고학 65 (등재) | 영남고고학회 |
15 | 김은경 | 2013 | 월성 출토 신라 고식 수막새 제작기법에 대한 고찰 | 중앙고고연구 13(등재) | 중앙문화재연구원 |
14 | 김은경 | 2013 | 신라고분 출토 안교 장식구에 대한 일고찰 | 인류학, 고고학 논총 |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개설40주년 기념 논총 |
13 | 박달석 | 2012 | 統一新羅時代 沙伐州 伏龍洞聚落과 地方都市構造 硏究 | 석사학위 논문 | 부산대학교 |
12 | 서경민 | 2012 | 5~6세기대 안동지역 세력의 구성과 그 동향 | 한국 고고학보83(등재) | 한국고고학회 |
11 | 김은경 | 2012 | 三國時代 古墳出土 朱와 그 意味 | 嶺南考古學 61(등재) | 영남고고학회 |
10 | 박달석 | 2011 | 伏龍洞遺蹟으로 본 統一新羅時代 沙伐州의 都市構造 | 嶺南文化財硏究 24 | 영남문화재연구원 |
9 | 남익희 | 2011 | 5〜6세기 낙동강 중상류역 성주양식 토기의 분포와 의의 | 경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 30주년 기념논총 |
경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 |
8 | 남익희 | 2011 | 5〜6세기 성주지역 분묘의 특징과 성주양식 토기의 분포 | 한국상고사학보 74 (등재) | 한국상고사학회 |
7 | 김준식 | 2011 | 晋州 院堂1號墳 | 한국상고사학보 74(등재) | 한국상고사학보 |
6 | 송상우 | 2010 | 경주지역 고분 출토 단각고배에 관한 연구 | 석사학위 논문 | 경주대학교 |
5 | 최유라 | 2010 | 안동지역의 통일신라시대 고분 연구 | 석사학위 논문 | 안동대학교 |
4 | 송상우 | 2010 | 경주지역 고분 출토 단각고배에 관한 연구 | 대구사학 101(등재) | 대구사학회 |
3 | 서경민 | 2010 | 의성양식토기의 분포로 본 의성지역 권역 | 한국고대사 속의 召文國 | 경북의성군· 경북대학교영남문화연구원 |
2 | 김은경 | 2010 | 新羅古墳 出土 雲母의 性格 | 한국 고고학보77(등재) | 한국고고학회 |
1 | 남익희 | 2009 | 5〜6세기 성주양식 토기 및 정치체 연구 | 영남고고학 49 (등재) | 영남고고학회 |
학술발표
연번 | 이름 | 연도 | 논문명 | 학술지명 | 발간기관 |
---|---|---|---|---|---|
36 | 박달석 | 2019 | 상주 견훤산성의 축조시기와 성격 | 한국성곽학회 학술포럼 | 한국성곽학회 |
35 | 남익희 | 2019 | 대구·경산지역의 고분문화 | 주민역사문화 리더 양성교육과정 | 대구시 달서구청 |
34 | 김은경 | 2019 | 영남지역 옹관묘 장송의례 연구 | 한국고고학전국대회 자유패널 제1분과 |
한국고고학회 |
33 | 김은경 | 2019 | 신라고분 이야기 | 주민역사문화리더 양성교육과정 | 대구시 달서구청 |
32 | 김은경 | 2019 | 연령별 문화재 교육의 활용방안 | 한국대중고고학회 추계발표회 | 한국대중고고학회 |
31 | 김준식 | 2019 | 소가야식 횡혈식석실의 출현과 의미 | 고분문화연구회 정기발표회 | 고분문화연구회 |
30 | 길가은 | 2019 | 경산 부적리 BⅥ호분과 경산지역 적석목곽묘 | 고분문화연구회 정기발표회 | 고분문화연구회 |
29 | 남익희 | 2018 | 신라토기의 형식에 관한 제안 | 영남고고학회 제 27회 정기학술발표회 -형식학의 제 문제 |
영남고고학회 |
28 | 도영아 | 2018 | 선사유적 발굴조사와 보고서의 간행 | 주민역사리더 양성교육과정 운영 | 대구시 달서구청 |
27 | 서경민 | 2018 | 금성산 고분군 출토 초기의 특징과 부장양상 | 의성 금성산고분군의 역사적 가치와 특수성검토 |
의성군·성림문화재연구원 |
26 | 김은경 | 2018 | 금령총 발굴의 재검토 | 일제강점기에 발굴된 대릉원 일원의 신라고분, 학술대회발표 |
경주시·신라문화유산연구원 |
25 | 김은경 | 2018 | 삼국시대 (인신)희생의례에 대한 검토 | 국제학술대회 발표 | 동아인문학회 |
24 | 김은경 | 2018 | 연령별 문화재 교육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 | 문화유산교육 논문 공모전 학술발표회 발표 |
문화재청 |
23 | 김준식 | 2018 | 왜계석실로 본 백제-가야-왜의 교류양상 | 가야고분군 세계유산(등재)를 위한 전문가 국제포럼 |
가야고분군 세계유산등재추진단 |
22 | 김준식 | 2018 | 가야지역 횡혈식석실의 기원지와 계보 | 동아시아 고분문화와 백제 왕릉의 위상 국제회의 |
서울특별시·백제학회 |
21 | 김준식 | 2017 | 매장문화재 교육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 | 2017문화유산교육 학술논문 공모전 | 한국문화재재단 |
20 | 박달석 | 2016 | 고고학적 성과로 본 상주읍성 | 상주읍성의 역사적 가치 | 상주박물관 |
19 | 남익희 | 2016 | 대구 달서지역 삼국시대 유적과 활용방안 | 대구 달서지역의 문화재와 그 활용방안 |
대구시 달서구청/ 세종문화재연구원 |
18 | 김창억 | 2015 | 신라우물의 종류와 성격 | 제7차 세계물포럼 -신라우물과 삶- |
세계물포럼/ 국제수문환경학회 |
17 | 김창억 | 2015 | 신라인의 우물활용과 제의 | 국립대구박물관‧ 대구경북문화재조사연구기관 특별전 |
국립대구박물관 |
16 | 김은경 | 2015 | 대구 달서지역 선사유적의 이해 | 달서지역 선사유적의 역사적 의미와 문화적 가치 |
대구시 달서구청/ 세종문화재연구원 |
15 | 김창억 | 2014 | 신라우물의 축조방법과 종류 | 제6차 세계물포럼 -신라우물과 문화- |
세계물포럼/ 국제수문환경학회 |
14 | 김창억 | 2014 | 경주지역 역사 우물의 제작재료와 축조과정 | 경주지역 역사 우물의 정비‧활용에 대한 연구 |
신라문화유산연구원 |
13 | 김창억 | 2014 | 삼국시대 의성의 고분문화 | 조문국박물관대학 | 의성조문국박물관 |
12 | 송상우 | 2014 | 김천 운수리 여말선초 와요지 | 2014년 연구조사발표회 | 영남지역문화재 조사연구기관협의회 |
11 | 김은경 | 2014 | 新羅古墳 出土鐵斧의 副章과 그 意味 | 신라사학회 정기발표회 | 신라사학회 |
10 | 김준식 | 2014 | 영주 순흥지역 고분군의 역사적 의미와 활용방안 | 문화유산 창의적 활용 논문공모전 | 한국문화재재단 |
9 | 박달석 | 2013 | 고고학적 성과로 본 통일신라~조선시대 상주의 중심지 | 제3회 상주박물관 학술대회 조선시대의 상주 |
상주박물관 |
8 | 박달석 | 2013 | 상주 백화산 주변의 고고학적 연구 성과 | 백화산권의 역사성 재조명을 위한 학술대회-백화산과 상주 |
백화산을 사랑하는 모임 |
7 | 김창억 | 2012 | 大邱‧慶北地域 三國時代 集落の特徵と性格 | 日韓集落の硏究 | 日韓集落硏究會 |
6 | 남익희 | 2012 | 성주지역 삼국시대 고분군의 현황과 보존 관리 실태 및 연구 현황 |
경북지역 가야유적의 세계유산 가치 검토 |
경상북도/ 경북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5 | 남익희 | 2012 | 최근 영주 순흥지역 고분의 발굴조사 성과과 의의 | 영주 순흥지역 고분의 역사적 의미와 문화적 가치 |
영주시/ 세종문화재연구원 |
4 | 서경민 | 2012 | 5~6세기 고분문화와 古代 尙州 | 상주박물관 개관5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
상주시‧ (재)영남문화재연구원 |
3 | 서경민 | 2012 | 의성 지역 고분조사 50년과 조문국의 지배 세력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의성군조문국박물관 |
2 | 남익희 | 2009 | 삼국시대 성주지역 묘제의 변천과 특징 | 고분연구 16 | 고분연구회 |
1 | 김창억 | 2009 | 영남 내륙지역 삼국시대 주거와 취락 | 제18회 영남고고학회 학술발표회 | 영남고고학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