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정보실
발굴조사보고서
大邱 公平洞 58-6番地 遺蹟(대구 공평동 58-6번지 유적)
개요
본 유적은 조선시대에 해당하는 생활유구가 조성된 유적으로, 대구지역의 중심지에 거주하였던 사람들의 생활 및 문화상을 이해하는데 좋은 자료를 제공해줄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유적의 시기와 성격은 기발굴조사된 주변의 유적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대부분의 유구가 오랜 시간 동안 이루어진 근대의 개발과 삭평 등으로 인해 잔존상태가 양호하지 못한 점은 약간의 아쉬움으로 남는다. 마지막으로 최근 본 유적의 북동쪽으로 연접한‘대구 중구 공평동 58-5번지 유적’내에서도 청동기시대 수혈주거지를 비롯한 조선시대 수혈, 집석유구 등이 조사된 바 있고, 이에 기조사된 주변의 여러 유적과 함께 종합적인 분석과 검토가 이루어진다면, 차후 대구지역 중심지에 거주하였던 사람들의 생활 및 문화상이 다양하게 복원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유구종별/시대/유형및기수/중요유물/특기사항
유구종별 | 시대 | 유형 및 기수 | 중요유물 | 특기사항 |
생활유적 | 조선시대 | 건물지 1동 | 백자 저부편 | · |
수혈주거지 3동 | 청자잔, 분청자병편, 백자연적편, 백자제기편, 백자병편, 흑유소옹, 구연부편, 백자철화, 화문병편, 암키와편, 어망추, 철사등 | | ||
수혈 40기 | 분청자종지 백자저부편 호구연부편 파수부편 수키와등 | · | ||
점석유구 1기 | 백자저부편, 암키와편등 | | ||
구상유구 1기 | 호저부편 | | ||
야외노지 4기 | 녹갈유도기 저부편 | · | ||
주혈 8개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