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정보실

발굴조사보고서

  • 학술 정보실
  • 발굴조사보고서

金泉 大新里 山96-1番地 遺蹟 (김천 대신리 산96-1번지 유적)

책수 : 57
발행일 : 2017. 7. 21
발행기관 : 재단법인 세종문화재연구원
페이지수 : 159
규격 : A4(210 X 297mm)
조사위치 : 경상북도 김천시 아포읍 대신리 산96-1번지 일원
조사면적 : 1,330㎡
조사연유 : 공장건립에 따른 구제발굴
발굴조사자 : 김창억, 진성섭, 박달석, 서경민, 이동현, 박장호
집필,편집 : 김창억, 진성섭, 박달석, 서경민, 이동현, 박장호, 송상우

개요


 본 유적은 초기철기시대와 삼국~통일신라시대에 해당되는 석곽(실)묘와 수혈, 토광묘 유적이 확인되었는데, 본 유적을 통해 김천지역에서 삼각형점토대토기 단계에 걸쳐 지속적으로 점토대토기집단이 있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삼국시대 석곽묘는 구릉 정상에서 말단까지 등고선과 평행하게 조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토광묘는 구릉 능선과 사면에 조성되어 있는데, 그 밀집도는 구릉 말단부에 집중되어 있어, 이를 통해 구릉 정상부는 주로 통일신라시대까지 생활공간 및 매장공간으로 활용되었고, 그 아래 구릉 능선과 사면은 조선시대에 매장공간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서 조사지역과 그 인접지역은 초기철기시대~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

로 생활공간과 무덤을 조성한 공간으로 점유·사용되어 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향후 김천

지역의 정주인의 생활상을 복원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해 주었다는데 이번 조사의 의의가 있다 할

것이다.

유구종별/시대/유형및기수/중요유물/특기사항

문묘유적

 

생활유적

삼국시대

석곽묘 1

 

석실묘 1

유개고배, , 파수부편

조선시대

토광묘 14

분청자 유병, 청동합,

청동숟가락, 동장신구 등

시대미상

석개토광묘 2

 

초기철기~

조선시대

수혈 7

발형토기 저부편, 대부완,

, 장동호, 양이부 동이,

시루, 암키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