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정보실

발굴조사보고서

  • 학술 정보실
  • 발굴조사보고서

대구 신무동사지7(일명암지) 금당지

책수 : 103
발행일 : 2022. 6. 20.
발행기관 : 재단법인 세종문화재연구원
페이지수 : 163
규격 : A4(210X297mm)
조사위치 : 대구광역시 동구 신무동 66번지
조사면적 : 210㎡
조사연유 : 문화재 보수정비 시비보조사업으로 추진된 학술발굴
발굴조사자 : 김창억, 박달석, 김준식, 이진혁, 양성민, 김은경
집필,편집 : 김창억, 박달석, 김준식, 이진혁, 양성민, 김은경, 양종현

개요

 신무동사지7(일명암지)로 불리는 본 유적은 행정구역상 대구광역시 동구 신무동 66번지로, ‘부인사지(대구광역시 기념물 제3)’에 포함되면서, 文化遺蹟分布地圖-大邱廣域市-에 등재된 대구 일명사지에 해당한다.

 정밀발굴조사 결과, 본 유적에서는 통일신라시대 건물지(금당지) 1, 조선시대 배수로 1, 조선시대 담장 1기 등 총 3기의 유구가 확인되었다. 출토유물은 통일신라시대 건물지(금당지)에서 기와류(수키와, 암키와, 마루기와, 연화문 수막새, 당초문 암막새) 18, 조선시대 배수로에서 기와류(수키와, 암키와, 특수기와, 당초문 암막새) 6자기류(분청자 저부편) 1토기류(토기 병) 1점 등 8, 조선시대 담장에서 기와류(연화문 수막새) 2점 등 유구에서 28점이 출토되었고, 지표에서 기와류(수키와, 암키와(명문), 특수기와, 연화문 수막새) 7자기류(백자 저부편) 1점 등 8점이 출토되어 유적 내에서 총 3636점이 출토되었다.

 본 유적은 이번 조사를 통해 확보된 자료는 향후 부인사의 별원(別院)으로 인식되어 온 일명암지의 구체적인 조영 시기와 성격을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향후 단계적인 정밀발굴조사를 위한 초석을 닦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유구종별/시대/유형및기수/중요유물/특기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