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정보실
발굴조사보고서
高靈 高谷里 山85-7番地 遺蹟 (고령 고곡리 산85-7번지 유적))
개요
본 유적은 삼국시대부터 근대까지 분묘·생활·생산 유구가 조성된 복합유적으로 당시 이 지역 사람들의
생활상을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들이 확인되어 이 시대의 생활·문화상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가
축적되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유구종별/시대/유형및기수/중요유물/특기사항
분묘유적 | 삼국시대 | 석곽묘 1기 | · |
조선시대 | 토광묘 16기 | · | |
생활유적 | 고려- 조선시대 | 건물지 2동 | 옹 구연부편, 단경호 구연부편, 명기형 토기, 청자, 저부편, 암키와, 어망추, 병 경부편 등 |
굴립주 건물지 2동 | · | ||
주거지 1동 | 호 구연부편, 암키와 | ||
석렬 1기 | · | ||
적심 2기 | · | ||
수혈 21기 | 대호 구연부편, 파수부편, 토기 동체부편, 병 저부편, 청자 접시, 청자 종지, 방추차, 수키와, 암키와 등 | ||
구 4기 | 대호 구연부편, 호 구연부편, 파수부편, 암키와 등 | ||
주혈 33개 | · | ||
생산유적 | 근대 | 송탄유 가마 6기 | 산기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