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정보실
발굴조사보고서
大邱邑城 北城壁 遺蹟 (대구읍성 북성벽 유적)
개요
본 유적은 조선시대 때 축성된 ‘대구읍성’의 북성벽 기저부와 암거시설이 확인되어 그간 문헌사료와 금석문 그리고 사진자료를 통해 전해지던 ‘대구읍성’의 실체를 처음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은 대구의 중세~근대 역사에서 매우 큰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대구읍성의 조성입지와 도시공간구조 변화와 발굴조사 결과, 확인된 성벽 구조와 출토유물 그리고 문헌과 근대사진 등을 통해 대구읍성의 역사적 의미와 가치에 주안점을 두고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구읍성 북성벽 유적은 대구광역시 중구청에서 시행하는 ‘대구근대골목투어’의 일환으로 시작되어 북성벽 기저부와 암거시설 확인을 통해 그간 문헌사료와 금석문 그리고 사진자료를 통해 전해지던 ‘대구읍성’의 실체를 이해하는데 좋은 자료로 평가될 만하다. 이는 대구시의 근대사에서 굉장히 큰 의미가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당시 삶의 공간이라는 대구읍성의 가치와 역사적 의미라는 전체적인 틀 속에서 종합적인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유구종별/시대/유형및기수/중요유물/특기사항
관방유적 | 조선시대 | 읍성 체성 기저부 1기 암거시설 1기 | 백자 접시, 백자 종지, 백자 잔, 백자 소병, 백자 저부편, 수키와 편, 무문토기 저부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