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정보실
발굴조사보고서
金海 大甘里 山24番地 遺蹟 (김해 대감리 산24번지 유적)
개요
본 유적은 청동기시대에서 조선시대에 걸쳐 생산·생활·분묘유구가 확인된 복합유적이다. 본 유적은 낙동강 유역의 서쪽에 입지하는 유적으로, 청동기시대 이래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매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을 뿐만 아니라 생산 및 생활공간으로도 이용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유적은 이 일대에서 거주한 사람들의 생활모습과 매장 형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라고 판단되고, 당시의 생활상의 복원과 매장 문화를 규명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가 확보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인근에 기 조사된 유적에 비해 다양한 형태의 유구와 유물이 확인되어 그 자료를 확보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유구종별/시대/유형및기수/중요유물/특기사항
생산유적 생활유적 분묘유적 | 청동기시대 | 석관묘 4기 | 적색마연호, 석검, 석촉 |
삼국시대 | 목관묘 1기 | | |
고려시대 | 주거지 3동 석곽묘 4기 토광묘 20기 | 토기 병, 녹갈유병, 청자 발, 청자 접시, 청자 잔, 청자 매병, 청동합, 청동완, 청동접시, 동전, 동곳, 청동숟가락, 청동젓가락 | |
조선시대 | 토광묘 25기 삼가마 2기 수혈 9기 구 10기 야외노지 1기 | 녹갈유병, 백자 발, 백자 접시, 청동완, 청동숟가락, 청동젓가락, 청동족집게, 구슬 | |
시대미상 | 수혈 19기 구 4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