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정보실
발굴조사보고서
永川 成川里 499-147番地 遺蹟 (영천 성천리 499-147번지 유적)
개요
본 유적은 발굴조사 결과 우물과 수혈, 구상유구에서 출토된 개, 고배, 대부완, 대부배, 병, 단경호, 파수부편 등 통해 6세기 중엽~7세기 중엽에 조성된 유적으로 확인되었다. 중심연대는 7세기 초로 판단된다. 성천리 일대가 삼국시대에 생활터전으로 이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와 관련된 고고학적 자료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유적에서 확인된 수레바퀴흔을 통해 이 일대(하양-금호-영천)를 잇는 이동 경로를 연구할 수 있고, 수레바퀴 사이의 폭을 이용해 당시 수레의 규모나 도로의 너비를 추정할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유구종별/시대/유형및기수/중요유물/특기사항
생활유적 | 삼국시대 | 우물 1기, 수혈 3기, 구상유구 1기 | 대부완, 대부배, 배편, 고배 대각편, 연질 옹 구연부편 병 구연부편, 파수부편 등 |
시대미상 | 수레바퀴흔 1기 | |